유발하라리
-
유발하라리 사피엔스 리뷰2-수학은 인간이 사고하는 방식이 아니다책리뷰 2019. 6. 10. 21:00
맨처음 인간은 무엇을 글자로 썼을까? 조상들이 가장 맨처음 남긴 메세지는 가령 이랬다. '보리 29,086자루 37개월 쿠심' 슬프게도 역사상 최초의 문서에 담긴 것은 철학적 통찰도, 시도, 전설도 심지어 왕의 승리도 아닌 그저 세금 지불액과 쌓이는 빚의 액수와 재산의 소유권을 기록한 평이한 경제 문서일 따름이었다. 사회가 만약 30명정도의 무리를 이루는 수렵채집 사회의 부족이라면 문자가 별로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정도는 각자 사람과 사람간의 관계에 있어서 일어난 거의 모든 것을 기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로 숫자를 세어서 주고 받는 것도 번거로운 행동일 뿐이다. 사과를 따고 있는 메리는 나무에 달린 사과가 몇개인지를 세어야 할 이유가 없었다 하지만 잉여생산물이 발전하고 만명 정도 사는 제국이 출현하..
-
유발하라리 사피엔스 리뷰-그저열심히 산다고 되는건 아니구나-책리뷰 2019. 6. 9. 22:50
책값이 비싸서 한참을 벼르다가 보게 되었다 왜 내가 좋아하는 종류의 책은 이렇게 비싼걸까.. 두꺼워서 그런가.. 아무튼 농사에 대한 이야기가 인상깊었다. 우리는 인류가 농사를 시작하여 지금의 번영을 이루었다고 배웠다. 잉여생산물이 생기고 그 생산물들로 부터 계급과 제도와 불평등이 생겨났다고. 하지만 농사가 시작된지 얼마 안되었을 당시에는 수렵채집의 시절보다 훨씬 더 힘든 노동을 하고도 형편없는 식사를 했다고 한다. 수렵채집 사회는 의외로 현대의 음식들과 다르지 않게 풍족했다고 했는데 계속 수렵채집 사회로 남아있었다면 인류는 늘어나는 인구를 감당하지 못해 자멸했을 것이다. 맨처음엔 곡식의 낱알 몇개를 주워 먹다가 몇 대에 걸쳐서 곡식을 들고 지나가며 조금씩 흘렸을 것이다 흘린 곡식이 씨앗이 되어 다니는 길..